함수안에 파라미터(인자)의 기본값을 주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대표적으로 3가지가 있다.
1. 가장 직관적인 방법
//문
const add = (a, b) => {
if (a == undefined) a = 0;
if (b == undefined) b = 0;
return a + b;
}
console.log(add(1, 2)); //3
console.log(add(1)); //1
console.log(add()); //0
//표현식
const add = (a, b) => {
a = a ? a : 0;
b = b ? b : 0;
return a + b;
}
console.log(add(1, 2)); //3
console.log(add(1)); //1
console.log(add()); //0
직관적이고 누구나 쉽게 이해하지만 코드가 길어진다.
2. 단축평가 활용하기
const add = (a, b) => {
a = a || 0;
b = b || 0;
return a + b;
}
console.log(add(1, 2)); // 3
console.log(add(1)); // 1
console.log(add()); // 0
문이아닌 표현식이여서 활용도가 높다.
자바스크립트에 대해 이해도가 없는 사람은 이해하기 힘든 코드라는 단점이 있다.
3. 파라미터에서 기본값 설정하기 (ES6에서 도입)
const add = (a = 0 , b = 0) => {
return a + b;
}
console.log(add(1, 2)); //3
console.log(add(1)); //1
console.log(add()); //0
직관적이고 코드가 깔끔해진다.
2번과 3번은 타인의 코드를 읽기위해서라도 알고있는게 좋다.
'자바스크립트 Deep Div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ntelliJ, VSCode] 자동정렬 단축키 정 (0) | 2023.03.23 |
---|---|
[Javascript] 렉시컬 스코프란? (0) | 2023.02.25 |
[Javascript] 원시 타입 vs 객체 타입 메모리 사용법 비교 (0) | 2023.02.12 |
[Javascript] 객체 프로퍼티 (key, value) 동적으로 생성 및 조회하기 (0) | 2023.02.09 |
[Javascript] 객체 프로퍼티 접근 방법 (0) | 2023.02.09 |